
디스크립션
나는 예전부터 가끔씩 손이 저려서 ‘혈액순환이 잘 안 되나?’ 하는 생각을 하곤 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손 저림이 더 잦아지고, 어느 날은 밤에 자다가 손이 얼얼한 느낌에 깨어날 정도였다. 처음에는 단순한 일시적인 증상이라고 여겼지만, 나중에는 젓가락질을 하거나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손끝이 둔해지는 느낌까지 들었다. 결국 병원을 찾았고, 예상과는 달리 혈액순환 문제가 아니라 손목 터널 증후군(수근관 증후군, Carpal Tunnel Syndrome)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우리 몸에서 손발이 저리는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단순히 혈액순환 문제일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말초 신경병증, 목·허리 디스크, 혹은 심각한 신경계 질환의 전조 증상일 수도 있다. 특히 당뇨병이 있는 사람이라면 당뇨 신경병증도 고려해야 하며, 손발 저림이 지속된다면 그 원인을 명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글에서는 손발 저림의 다양한 원인과 혈액순환 장애와 신경계 질환의 차이점, 그리고 실생활에서 쉽게 구별하는 방법을 경험담과 최신 연구를 바탕으로 자세히 알아보겠다.
1. 손발 저림, 단순한 혈액순환 문제일까?
많은 사람들이 손발 저림이 있으면 혈액순환 장애를 가장 먼저 의심한다. 특히 겨울철이나 추운 환경에서는 말초 혈관이 수축하면서 손발이 저린 경험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혈액순환 문제로 인한 손발 저림의 대표적인 원인은 말초혈관 질환(PAD, Peripheral Artery Disease)이다. 말초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혀서 혈류 공급이 원활하지 않을 때 손발이 차가워지거나 저린 느낌이 들 수 있다.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손발 저림의 특징
- 추운 환경에서 증상이 심해짐
- 손이나 발이 차가운 느낌이 지속됨
- 운동 후 저린 증상이 악화됨
- 피부색이 창백하거나 푸르게 변함
하지만 혈액순환 문제라면 손발을 따뜻하게 하거나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마사지, 가벼운 운동을 하면 증상이 완화되는 경우가 많다. 반면, 신경계 질환과 관련된 손발 저림은 단순한 혈액순환 문제와 다른 양상을 보인다.
2. 신경계 질환과 연관된 손발 저림의 주요 원인
손발 저림이 지속되거나 악화될 경우, 신경 손상이 원인일 가능성이 크다. 특히 말초신경병증, 목·허리 디스크, 혹은 중추신경계 질환(뇌졸중 등)이 원인일 수 있다.
(1) 당뇨 신경병증 (Diabetic Neuropathy) – 당뇨 환자라면 주의
당뇨병이 있는 사람이라면 손발 저림이 신경 손상(말초신경병증)으로 인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연구에 따르면, 당뇨병 환자의 약 50%가 말초신경병증을 경험한다(출처: Callaghan BC et al., “Diabetic neuropathy: clinical manifestations and current treatments”, The Lancet Neurology, 2012).
당뇨 신경병증의 특징
- 양쪽 손발 끝부터 서서히 저림이 시작됨 (대칭적 저림)
- 특히 밤에 저린 증상이 심해짐
- 발바닥에 모래가 깔린 듯한 느낌
- 손발이 무딘 느낌이 들거나 감각이 떨어짐
나는 당뇨 신경병증을 겪은 지인을 통해 직접 경험담을 들을 수 있었다. 그는 처음에는 단순한 혈액순환 문제로 생각했지만, 밤에 증상이 심해지고 양쪽 발끝부터 시작되는 특성을 보고 병원에서 신경전도검사를 받았고, 말초신경병증 진단을 받았다.
➡ 구별법: 단순 혈액순환 문제는 손발을 따뜻하게 하면 개선되지만, 당뇨 신경병증은 온도와 관계없이 저린 증상이 지속됨.
(2) 목 디스크 vs 허리 디스크 – 저리는 부위가 다르다
목이나 허리 디스크가 신경을 압박하면 손발 저림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목 디스크 (Cervical Herniated Disc) – 팔과 손 저림
- 한쪽 팔이나 손이 저리거나 힘이 빠짐
- 특정 자세에서 증상이 악화됨 (예: 고개를 숙이거나 젖힐 때)
- 어깨 통증을 동반할 수 있음
➡ 구별법: 목 디스크는 보통 한쪽 손이 저리고, 특정 자세에서 증상이 악화됨.
허리 디스크 (Lumbar Herniated Disc) – 다리와 발 저림
- 허리 통증과 함께 다리나 발이 저림
- 오래 앉아 있거나 걸을 때 증상이 악화됨
- 다리에 힘이 빠지거나 감각이 둔해질 수 있음
➡ 구별법: 허리 디스크는 손이 아니라 주로 다리와 발이 저린 증상을 동반함.
3. 손발 저림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방법
나는 손 저림이 심했을 때 생활 습관을 개선하는 것만으로도 많은 도움이 되었다. 병원 진료와 병행하면서 증상이 완화된 경험을 바탕으로 몇 가지 방법을 추천하고자 한다.
(1) 손목 사용 줄이기 (손목 터널 증후군 예방)
나는 한때 스마트폰을 오래 사용하고 키보드를 많이 치면서 손 저림이 심해졌다. 손목 보호대를 착용하고 손목 스트레칭을 자주 해주니 증상이 완화되었다.
(2) 혈당 관리 (당뇨 신경병증 예방)
당뇨병이 있다면 혈당 조절이 가장 중요하다. 연구에 따르면 혈당을 철저히 관리한 그룹은 신경병증 진행 속도가 60% 이상 느려졌다(출처: UKPDS Group, “Intensive blood-glucose control with sulphonylureas or insulin compared with conventional treatment and risk of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The Lancet, 1998).
(3) 올바른 자세 유지 (디스크 예방)
나는 목 디스크 초기 증상이 있었는데, 자세를 바르게 유지하고 스트레칭을 꾸준히 하면서 증상이 개선되었다.
결론: 손발 저림, 가볍게 넘기지 말고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자
손발 저림이 단순한 혈액순환 문제일 수도 있지만, 신경 손상이나 디스크, 당뇨병과 관련된 문제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한쪽만 저리거나, 감각 저하가 동반된다면 반드시 병원을 방문해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
내 경험상, 초기에 증상을 가볍게 넘기지 않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면 충분히 관리할 수 있다. 작은 신호를 무시하지 말고 몸이 보내는 경고를 귀 기울여 보자.